728x90
반응형
[자료구조] 스택(stack)
자료구조 | 알고리즘/선형 자료구죠2024. 3. 28. 11:07[자료구조] 스택(stack)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택의 정의와 성질, 구현 방법, 활용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스택은 큐, 데큐와 서로 비슷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함께 공부하는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또한 스택은 비교적 여러 알고리즘에서 활용합니다. 따라서 어렵더라도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1. 스택의 의미와 특징스택이란?마지막으로 들어온 원소가 제일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더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면 한쪽 입구만 뚫린 터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데이터들이 한쪽으로만 들어갔다가 나오며 무언가 쌓는 모양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 때문에 "쌓다"라는 의미에서 스택(stack)으로 불린다. 스택의 특징LIFO(Last In First Out)의 구조를 가진다.원소의 추가/제거/확인이 모두 O(1)이다.최상단의 원소에만..

[자료구조] 큐(queue)
자료구조 | 알고리즘/선형 자료구죠2024. 3. 28. 00:16[자료구조] 큐(queue)

이번 포스팅에서는 선형 자료구조인 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큐는 스택, 데큐와 비슷한 점이 아주 많기 때문에 이들과 같이 비교하면서 보는게 좋습니다. 1. 큐 FIFO의 규칙을 가지는 자료구조입니다. 선입선출이라고도 합니다. 마치 놀이공원 대기줄을 연상시키죠. 2. 구현 배열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지만 head와 tail이 계속해서 밀리는 문제때문에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원형 큐로 구현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C++의 STL에는 이미 선형 큐가 구현되어 있습니다. STL의 queue를 쓰는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 다음은 큐 구현을 연습하기에 좋은 기본적인 문제들입니다. [백준 10845] 큐 [백준 18258] 큐2 [백준 2164] 카드2 3. 활용 큐는 주로 한 방향으로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

2024. 3. 21. 16:52이미지모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해주세요.

[자료구조 알고리즘관계]
자료구조 | 알고리즘2024. 3. 21. 13:03[자료구조 알고리즘관계]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에서 기초로 다룰 만큼 근간이 되는 학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고 둘의 관계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반적으로 흐름에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관계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구현 방법, 예시 등은 다른 글에서 다루었으니 필요하시면 찾아보세요! 1. 자료구조 자료구조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접근/수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조직화하는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자료구조는 왜 중요할까요?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데이터의 처리 속도나 메모리 사용량이 크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자료구조는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자료 구조의 특징 상황에 맞는 자료구조를 선택하려면 다음 세 가지 특징을 만족해야 합니다. ..

PS/백준 알고리즘[BOJ]2024. 3. 20. 15:20[백준 11399] ATM (C++)

1.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399 11399번: ATM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Pi가 주어진다. (1 ≤ Pi ≤ 1,000) www.acmicpc.net 2. 접근 방법 그리디를 떠올릴 수만 있다면 아주 쉬운 문제입니다. 하지만 그리디를 떠올리기 쉽지 않으므로 항상 일관된 알고리즘적 사고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따라서 평소처럼 일관된 방법으로 접근했습니다. 아이디어 완전 탐색으로 생각해볼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가지수는 1000!입니다. 팩토리얼의 허용 범위는 11이므로 불가능합니다. 완전 탐색이 불가능하여 DP로 접근해보았습니다. 이 문제의 조건을 보니 조합이 아니..

2024. 3. 10. 17:11React icons 사용법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해주세요.

2024. 3. 7. 01:05[React 톺아보기] 6. 상태 관리(1) - useStat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해주세요.

728x90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