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CLF-C02(AWS Cloud Practioner)합격 후기 및 효율적인 공부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eM5ZS%2FbtsLV5nLnpj%2FkzandbplbDBJg5iKNoRLTK%2Fimg.png)
0. 도입
저는 최근에 AWS 공식 인증 시험인 클라우드 실무자 자격증을 취득하여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을 남겨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글을 써봅니다.
먼저, 인증부터 하겠습니다. 합격컷은 1000점 중 700점이며 저는 약 10일 정도 투자하여 가성비있게 합격했습니다.
CLF의 경우 시험이 끝나자마자 합격/불합격 여부를 알 수 있고, 합격하면 약 3시간 뒤 AWS로부터 메일이 옵니다.
결과적으로 이제 저는 GPT와 구글링만 있다면 어떻게든 클라우드 배포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위처럼, 점수 보고서, 뱃지 획득, 다음 시험인 SAA 50% 할인권에 대한 안내 메일이 옵니다. 안내 사항에 따라 뱃지를 등록하면 링크드인과 연동하여 뱃지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뱃지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링크에서 참고해 주세요
저도 이번 기회를 통해 뱃지를 링크드인에 등록하고 나서야 알았는데 세계 최대의 구인구직 플랫폼 사이트로 해외취업을 생각중인 분들이라면 필수로 등록해야 합니다. [링크드인 프로필 등록 방법]
1. 시험 전 상태
저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는 중인 학생이며, 아주 간단한 프로젝트를 AWS의 EC2를 한달 정도 사용해본 경험이 있었습니다.
이때는 주먹구구식으로 구글링하며 EC2의 보안 그룹을 설정하고, RDS를 사용해보았고, 전반적인 서비스들에 대해 거의 모르는 상태였습니다. 이처럼 기본적인 콘솔 조작법도 거의 모르고 사용했기 때문에 RDS를 끄지 않아서 AWS측에 20만원을 지불하기도 했습니다..ㅜ
그러던 중 우연히 AWS 고수분께 CLF-C02에 대한 무료 쿠폰(바우처)를 얻게 되었고, 마침 여러 AWS 서비스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 싶은 생각도 들어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100$라서 약 13만원 정도 했었네요. 환율이 더 올랐을 때 결제하면 마음이 아플 것 같아요)
무엇보다도, 이번 기회를 통해 AWS의 전반적인 서비스와 조작 방법에 대해 익히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해보고 싶었습니다.
2. 시험 준비 과정
복학하기 전이라 시간이 남은 상태였지만, 그래도 제주도 여행, 부산 여행, 진행 중인 개인 프로젝트 등 여러 일정이 잡혀 있어 넉넉하게 준비할 수는 없었습니다. 따라서 약 10일 정도를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가성비를 위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다른 블로그나 후기를 보면 Udemy 유료 강의를 결제하고 유료 기출 문제를 구매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저는 돈을 쓰기 싫었기 때문에 나름데로 돈을 한 푼도 안쓰고 합격한 여러 후기들을 참고하고 적용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인적으로 개념은 최대한 빠르게 끝내고 Dump(기출 문제)를 최대한 돌리며 오답을 정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자격증은 길게 끌면 끌수록 루즈해지고 어차피 개념을 완벽하게 할 수 없기에 저는 10일 안에 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학습 계획을 세웠습니다.
따라서 아래에서 정리한 것처럼, 개념 + 기출 이 두개만 끝내면 충분합니다.
1) Skills Builder 무료 강의
https://aws.amazon.com/ko/certification/certified-cloud-practitioner/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증 | AWS 자격증 | AWS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AWS 클라우드, 서비스 및 용어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가 입증됩니다. 이 자격증은 IT 배경이 아닌 사람이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후보자가 클라우드 경력을 쌓을 수 있는 입
aws.amazon.com
이 사이트에서는 시험에 대한 기본 안내와 자격증 취득을 위한 무료 강의와 연습 문제를 제공해 줍니다. 또한 모듈별로 기본적인 개념 확인 문제를 제공하며 전체 강의가 끝나면 연습 문제 세트를 제공해 줍니다.
특히, 위에서 노란색으로 표시한 AWS Cloud Practioner Essentials는 무료 백서 강의로 한 번쯤은 듣고 정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Essentials 강의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기본 개념 강의를 제공하며 한국어 강의도 제공합니다.
저는 이 강의를 들으며 최대한 간결하게 노션에 정리했습니다. 듣고 개념을 정리하는 데에는 하루에 약 4시간 정도를 투자하여 3일정도 투자했습니다. 강의는 약 7시간 정도 분량이지만, 배속으로 들으며 빠르게 정리하면 금방 끝낼 수 있습니다.
2) 기출
개념을 빠르게 정리했다면 기출 문제를 풀며 오답을 정리해야 합니다. 어차피 기본 백서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들은 기출 문제에 대부분 소개되어 있습니다. 기출 문제는 Examtopics라는 사이트에서 170문제?까지는 무료로 제공합니다.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CLF-C02 Exam - Free Exam Q&As, Page 1 | ExamTopics
www.examtopics.com
이 사이트에서 다루었던 기출 문제와 100% 똑같이 나와서 그냥 고민도 안하고 풀었던 문제들이 3~5문제 정도 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 기출문제들을 다 풀고 시간이 좀 남아서 구글링으로 다른 덤프들을 찾아서 최대한 많은 문제들을 여기저기서 긁어모아 닥치는데로 풀었습니다.
아래는 참고할 만한 다른 연습 문제 사이트입니다.
AWS-Certified-Cloud-Practitioner-Notes/practice-exam/exams.md at master · kananinirav/AWS-Certified-Cloud-Practitioner-Notes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Short Notes And Practice Exams (CLF-C02) - kananinirav/AWS-Certified-Cloud-Practitioner-Notes
github.com
특히 이 사이트는 연습 문제 세트를 회차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난이도가 좀 많이 높고 자세한 면이 있지만, 실제 시험과 비슷한 문제도 한 두문제 정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https://www.koreadumps.com/CLF-C02-practice-test.html#
Amazon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 CLF-C02 시험문제 [2025]
www.koreadumps.com
3. 공부 방법
1) 키워드
기출 문제를 2번 정도 돌리다 보면 대충 비슷한 키워드가 반복되는 것이 느껴집니다. 이때 개념을 다시 보며 중요 키워드와 단어를 매칭하였고 이런 식으로 익히다 보면 3~4번째 반복부터는 문제를 읽으며 선택지가 먼저 예상되는 수준까지 옵니다.
2) 기출 활용 방법
위에서 제시한 Examtopics 사이트의 경우 사이트의 정답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이 논의한 내용을 보며(가끔 댓글로 서로 싸우기도 합니다), 여러 글들을 읽어보고 비교하면서 공부했는데 이 부분이 상당히 많이 도움되었던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논의 내용으로도 부족한 경우 GPT에게 물어보거나, 해당 문제를 풀이한 다른 블로그를 참고하였습니다. 최대한 구글링을 활용하면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3) AWS 공식 사이트 활용
3회독 이후에도 계속 틀리는 내용들은 AWS 공식 사이트의 문서를 읽어보았습니다. 이 문서를 읽으니 비슷하게 느껴졌던 서비스들이 구체적인 상황별로 다르게 사용됨을 비로소 이해했습니다. 솔직히 읽기가 귀찮아서 그러지, 공식 문서가 제일 정확합니다.
4) 틀린 내용 묶어서 정리
저는 자주 틀리는 항목이나 문제를 노션에 저장하여 휴대폰 노션 앱으로 여행 중 이동 시간(비행기, 버스, 지하철) 등에서 틈틈히 보았습니다. 이 부분도 조금 많이 도움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보니 그냥, 많이 풀고 많이 반복했던 것 같네요.
4. 기타 꿀팁들
1) 주요 주제들
시험 직후 복기한 주요 주제들입니다.
- Shared Responsibility Model (한 열 문제 나왔어요)
- Support Plans 차이점들(특히, Enterprice에 관한 지원 사항들)
- Network ACL(Network Access Control List) 특징들 (2 문제 정도?)
- 상황에 따른 EC2 비용(5문제 정도?)
- IAM 관련 설정 사항(4문제 정도?) 조직 관리, 일괄청구 등
- 공동 책임 모델(이건 누구 책임이냐?)
- Serverless Computing
- S3 및 DB, 데이터분석 서비스(글레이셔, Redshift 등등)
- 보안 관련 서비스들(Optimization, Trusted Advisor, Inspector 등)
- 모니터링(CloudWatch, 비용 알림 설정 등)
- 사소한 개념들(Appstream 2.0, AWS 챗봇, AI 서비스 등)
2) 기타 꿀팁들
- 무조건 현장에서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온라인 환경의 경우 제약 사항이 많은 것 같아요.
- 주민등록증, 신용카드, 여권 등 ID카드는 최대한 많이 챙겨가는 것이 좋습니다.
- 시험장은 강남 근처가 제일 좋은 것 같아요.
특히 깐깐하게 검사하는 경우, 영문 이름이 있는 신용 카드, 여권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니 무조건 챙겨가는게 이득입니다. 저는 그냥 일찍 일어나서 오전부터 시험장 근처 카페에 있다가 들어갔습니다.
5. 정리
비록 엄청 간단한 시험이지만, 나름대로 간절하게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저는 이제 다음 단계인 SAA를 준비하며 클라우드 분야에 대해 조금 더 깊게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경이로운 BE 개발자가 되기 위한 프로그래밍 공부 기록장
도움이 되었다면 "❤️" 또는 "👍🏻" 해주세요! 문의는 아래 이메일로 보내주세요.